주식하는법 기초, 양봉 음봉 주식 봉차트 보는법! 좋은 일봉 그래프 찾기
주식하는법 기초는 단연 봉차트를 볼 줄 알아야 한다. 주식배우려면 일봉, 이동평균선, 거래량을 알면 70%는 아는거임. 하지만 이 세가지를 알지 못하면 아무리 주식기법이라고 공부해봤자. 아무런 소용이 없는거다. 주식의 기초가 일봉보는거다. 일봉은 시가 종가 고가 저가 최저가 최고가에 따라서 모양이 달라진다. 만들어진 봉차트의 모양에 따라서 좋은 주식종목인지 나쁜 주식 종목인지 파악도 가능하니 일봉 보는법만 잘 익혀두어도 주식차트 보는 눈이 생길꺼임.
일봉은 시가를 중심으로 주식이 올라갈지, 내려갈지에 따라서 음봉과 양봉으로 구분된다. 음봉은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양봉은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시가는 장이 열릴때 해당 주식의 시작 호가로 결정된다. 시가로부터 주식이 떨어지면 파란색 음봉이, 주식이 올라가면 빨간색 양봉으로 나온다.
주식의 일봉이 파란색으로 음봉이 나왔다고 하더라도 전날 종가보다 높은 호가에 끝났으면 전날보다 주가가 올라간 것이고, 양봉이 나와도 전날보다 종가보다 낮은 호가로 끝이 났다면 주가가 내려간 것이다.
이러한 까닭으로 시가가 얼마에 형성되는가가 중요하며 장이 마감했을때의 종가가 전날과 비교해서 어떻게 되었는지 보는 것도 파악을 해야하는거임.
일봉차트에 보면 위 혹은 아래에 중앙에 실선이 생긴 경우가 있다. 이것을 일봉에 꼬리가 생겼다고 한다. 일봉에 꼬리가 생기는 것은 최고가, 최저가, 종가의 차이 때문이다. 일봉 꼬리가 위쪽을 생기는 경우를 보면 이런거다. 그날 시가로 부터 주가가 올라서 양봉이 되었는데 그날 최고가까지 올라갔다가 장이 마무리 될때 주가가 조금 내려오면서 마무리되면서 꼬리가 생기는 거다. 여기서 최고가는 상한가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상한가는 최고가라고 할 수 있지만 최고가는 항상 상한가라고 부를 수 없다.
그럼 일봉차트 아래쪽으로 꼬리가 생기는 것은 뭘까? 시가로 부터 주가가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가면 아래쪽으로 꼬리가 생기는거다. 마찬가지로 하한가는 최저가가 될 수 있지만, 최저가는 하한가가 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꼬리가 위쪽으로 많은 주식은 별로 좋지 못하다. 양봉에서 힘빨이 없어서 떨어져 버리는 종목으로 다음날 올라가는데 모멘텀이 떨어지는 것이다. 양봉은 위쪽 꼬리가 없이 최고가가 종가가 되는 것이 가장 좋다. 반대로 아래꼬리는 길수록 괜찮은 종목이다. 저가로 떨어졌지만 올라갈 수 있는 여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봉차트는 이정도로 파악을 하면 좋다. 봉차트와 더불어 이평선(이동평균선)과 거래량도 같이 파악을 해야한다. 기본적인 것을 챙기고 나서 다음에 다양한 그래프와 기법들을 같이 파악해두는 것이 좋겠다.
댓글